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서 일정액을 기부하면 세액공제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고향사랑 기부제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연말정산 폭탄이 아닌 13월의 월급을 위한 우리들의 노력. 자 그렇다면 기부는 연말정산이란 무슨 관련이 있을까?아래에 진짜 쉽게 정리해 두었다.
고향사랑 기부제란
고향사랑 기부제는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방재정을 확충하려는 취지에서 2023년 1월 1일 부로 시행된 제도이다.쉽게 말해 기부를 이끌어 내기 위해 고향사랑 기부제를 통해 현재 거주하는 지역이 아닌 자신의 고향이나 원하는 지방자치단체에 일정액을 기부하면 세액공제 공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거주지가 수원으로 되어 있다면 경기도와 수원시를 제외한 지자체에 기부금을 내고 혜택을 받는 것이다.
고향사랑 기부제 세액공제 혜택
기부금 10만 원까지 전액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10만 원을 넘기면 그 초과분에 대해서는 16.5%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는다. (ex 기부금이 20만 원이라면 11만 6500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 한도액은 1인 당 연간 500만 원이다)
더불어 기부금의 30% 이내의 답례품이 제공된다. 답례품 종류에는 관광서비스 농축산물 수산물 가공식품 생활용품 지역상품권 등 이 있는데, 즉 10만 원을 기부해서 3만 원 더 돌려받고, 돌려받은 것으로 답례품 종류 중 원하는 것을 구입할 수 있다.
자 그럼 고향사랑 기부제를 통해 기부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고향사랑 기부제 기부 방법(홈페이지)
고향사랑 e음(https://ilovegohyang.go.kr/)
로그인 방법: 카카오톡 인증 로그인
1. 홈페이지 접속 한다.
2. 기부하기 클릭 카카오톡 인증으로 로그인한다.
3. 지역선택(시/도와 시/군/구) 선택, 기부기능 여부 확인에서 신원을 확인한다.
기부 한번 하면 돌이킬 수 없으니 답례품부터 먼저 보고, 기부를 진행하도록 한다.
4. 기부가능한도 500만 원 내에서 기부한다.
앞서 말했듯 10만 원을 넘기면 그 초과분에 대해서는 16.5%의 세액공제
5. 답례품을 제공받음을 선택 후 기부금 납부하기를 통해 납부한다.
납부방법: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 결제(신용카드)
참고로 홈페이지 상단 메뉴에서 ‘답례품’ - 답례품 몰’에 접속한 뒤 물건을 고르면 된다.
자오늘은 이렇게 고향사랑 기부제 세액공제 연말정산(홈페이지) 방법을 알아보았다.
확실히 손해는 아닌 듯 하니 기부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편리한 생활에 도움이 되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쩌다 사장3 식혜 레시피 (염정아 식혜 만들기) (0) | 2024.01.12 |
---|---|
등드름 없애는 법,원인(가드름 포함) (1) | 2024.01.03 |
빈대 물린 증상,빈대 물렸을 때,약 (0) | 2023.11.16 |
빈대지도,빈대맵,빈대보드 사이트(현황판) (0) | 2023.11.15 |
고정ip주소 변경방법,ip 할당, vpn 추천 (1) | 2023.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