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중위소득 확인방법(100,150,180% 이하)
중위소득은 각종 정부 지원 사업의 수급자 선정에 활용이 된다. 이에따라 본인의 중위소득 확인 방법을 필히 알아야 할때가 있다. 우선 올해 중위소득을 알아보자!
내 중위소득 확인방법
<100,150,180% 소득기준>
기준 중위소득 (소득기준) |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 |
100% | 2,077,892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330,688 | 7,227,981 |
150% | 3,116,838 | 5,184,232 | 6,652,224 | 8,101,446 | 9,496,032 | 10,841,971 |
180% | 3,740,206 | 6,221,079 | 7,982,669 | 9,721,735 | 11,395,238 | 13,010,366 |
<100% 기준 건보료 본인부담금>
기준중위소득 100% | ||||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건보료 본인부담금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2인 | 3,457,000 | 123,511 | 68,365 | 124,093 |
3인 | 4,435,000 | 157,684 | 121,134 | 159,423 |
4인 | 5,401,000 | 191,845 | 151,504 | 194,564 |
5인 | 6,331,000 | 226,361 | 191,639 | 230,142 |
6인 | 7,228,000 | 261,015 | 235,637 | 266,386 |
<150% 기준 건보료 본인부담금>
기준중위소득 150% | ||||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건보료 본인부담금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1인 | 3,117,000 | 111,677 | 50,654 | 112,823 |
2인 | 5,185,000 | 183,861 | 142,142 | 186,476 |
3인 | 6,653,000 | 237,913 | 206,359 | 242,216 |
4인 | 8,102,000 | 291,898 | 273,699 | 299,947 |
5인 | 9,497,000 | 346,067 | 335,569 | 359,887 |
6인 | 10,842,000 | 403,785 | 402,840 | 434,962 |
<180% 기준 건보료 본인부담금>
기준중위소득 180% | ||||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건보료 본인부담금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1인 | 3,741,000 | 132,975 | 85,637 | 134,375 |
2인 | 6,222,000 | 222,624 | 187,378 | 226,361 |
3인 | 7,983,000 | 284,769 | 264,991 | 291,898 |
4인 | 9,722,000 | 346,067 | 335,569 | 359,887 |
5인 | 11,396,000 | 434,962 | 436,179 | 476,875 |
6인 | 13,011,000 | 476,875 | 481,248 | 521,613 |
그렇다면 내 중위소득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복지로 내 중위소득 확인방법
사이트:https://www.bokjiro.go.kr/
첫번째 월 소득금액으로 판단할 경우 복지로 모의계산의 '국민기초 생활보장'에서 모의계산해 보는 것이다.
모의계산 > 국민기초 생활보장
소득재산정보(근로,사업,재산,기타) 일반재산(주거용재산,건축물, 토지,임차보증금,차량가액 등)을 입력 후 결과보기를 통해 예상 중위 소득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단 단순 참고용임을 알아두자!
건보료 내 중위소득 확인방법
두번째 건보료를 조회해 보다 정확한 내 중위소득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간편인증이나 공동인증을 통한 로그인이 필요하다
민원여기요>개인민원>납부확인서 (클릭)
간편인증(민간인증서) 로그인 또는 공동.금융인증서 로그인
기간 선택 > 조회 (클릭)
출력(클릭) 후 PDF를 통해 정확한 납부금액을 확인한다(납부 금액을 토대로 중위소득을 알 수 있다)
'편리한 생활에 도움이 되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업인 수당 신청,자격, 지급시기 (0) | 2023.07.28 |
---|---|
주정차단속 문자알림 시스템 서비스 신청방법 (0) | 2023.07.24 |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방법 중위소득 (0) | 2023.05.02 |
꽃 이름 알려주는 어플(앱,쉬운 설명) (0) | 2023.04.10 |
em용액 활용법(사용법) (0) | 2023.01.03 |
댓글